[백준으로 배우는 Swift] 개 (백준 10172번)
Updated:
시작하며
지난 문제를 통해 배운 Escape sequence를 이용해 고양이를 그린것 처럼, 이번 문제인 개를 그리는 것도 동일하다. 하지만 이번엔 Escape sequence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특수문자를 출력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백준 10172번
Escape sequence를 이용해 출력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특수문자 사이사이에 역슬래시(\)를 넣어주는게 매우 귀찮다. 출력하고 싶은 문자열을 그대로 쓸 수 있는 방법이 훨씬 편하다. 어떻게 하면 될까?
let dog = #"""
|\_/|
|q p| /}
( 0 )"""\
|"^"`| |
|_/=\\__|
"""#
print(dog)
#=> prints |\_/|
#=> prints |q p| /}
#=> prints ( 0 )"""\
#=> prints |"^"`| |
#=> prints |_/=\\__|
오오 문자열 그대로 넣어서 출력하게 만들어줬다! 바로 샾(#)과 세개의 큰따옴표(“””) 덕분이다. swift5 부터는 다음과 같은 조합으로 특수문자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기존의 세개의 큰따옴표는 여러줄의 문자열을 String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앞, 뒤에 샾(#)을 추가하여 특수문자도 표현 가능하다.
마무리
쉽다 쉬워! 백준의 문제들을 풀기 위해서 간단하게 출력을 표현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배웠다. 다음 포스팅에는 스위프트에서 입력값을 받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다.